북위 효무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위 효무제(孝武帝, 510년 ~ 535년)는 북위의 황제로, 광평왕 원회의 아들이며, 이주영의 난을 평정한 고환에 의해 옹립되었다. 고환의 권력 남용에 대항하려다 실패하여 우문태에게 의탁했으나, 근친상간과 우문태와의 갈등으로 인해 결국 독살되었다. 그의 사후 북위는 동위와 서위로 분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510년 출생 - 북위 효명제
북위 효명제는 선무제의 아들로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영태후의 섭정을 받았으나, 영태후의 실정과 독살, 그리고 이주영의 영태후 제거로 북위가 혼란에 빠지는 원인이 되었다. - 534년 사망 - 아탈라리쿠스
아탈라리쿠스는 6세기 동고트 왕국의 왕으로, 테오도리크 대왕의 외손자이자 어린 나이에 왕위에 올라 어머니 아마라스훈타의 섭정을 받았으며, 로마식 교육 옹호와 고트족 전통 중시 사이의 갈등 속에 18세에 요절했다. - 534년 사망 - 테우데리쿠스 1세
테우데리쿠스 1세는 6세기 초 프랑크 왕국의 왕으로, 클로비스 1세의 아들이며 랭스를 수도로 아우스트라시아 지역을 통치하며 부르군트족, 훈족과의 전투와 주변 국가와의 외교를 통해 프랑크 왕국의 세력을 확장했고, 533년 또는 534년에 사망했다. - 북위의 시중 - 북제 문선제
북제 문선제 고양은 동위의 실권자 고환의 아들로, 형 고징 사후 황위를 찬탈하여 북제를 건국했으나, 초기에는 유능한 정치를 펼쳤지만 후반기에는 폭정을 일삼아 북제 쇠퇴의 원인이 되었다. - 북위의 시중 - 북위 효장제
북위 효장제는 북위 선무제의 조카이자 팽성왕 원협의 아들로, 이주영의 추대로 황제가 되었으나 권력을 빼앗기고 이주영 제거를 시도하다 실패하여 이주씨 일족에게 사로잡혀 교살되었다.
북위 효무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효무제 (북위) |
휘 | 원수 |
자 | 효칙 |
소자 | (정보 없음) |
통치 | |
칭호 | 황제 |
왕조 | 북위 |
재위 기간 | 532년 6월 13일 - 535년 2월 3일 |
수도 | 낙양 → 장안 |
연호 | 태창: 532년 영흥: 532년 영희: 532년 - 534년 |
후임 | 효정제 (동위) 문제 (서위) |
선임 | 원랑 |
섭정 | 고환 (532–534) 우문태 (534–535) |
생애 | |
출생 | 510년 |
사망 | 535년 2월 3일 (23–24세) |
아버지 | 원회 |
어머니 | 이씨 |
배우자 | 고황후 |
자녀 | 원광기 |
가문 | 원 |
사후 정보 | |
시호 | 효무황제 |
능묘 | 운릉 |
2. 생애
원수(元脩)는 510년 북위 효문제의 아들이자 선무제의 동생인 광평왕 원회(元懷)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으며, 어머니는 측실 이씨였다.[4] 그는 젊어서부터 조용하고 총명하며 군사 문제에 관심을 가졌다.[5] 527년 여양군(Ruyang) 공작위를 받았고, 530년 평양왕으로 진봉되었다. 531년에는 시중, 상서우복야를 역임했고, 얼마 후 상서좌복야로 전임되었다.
532년 4월, 고환은 이주씨 일족을 격파하고 정권을 장악한 뒤 낙양에 들어와 절민제를 폐위하고 원수를 황제(효무제)로 옹립했다.[6] 그러나 효무제는 고환의 꼭두각시나 다름없었고, 고환을 제거하기 위해 관중의 하발악과 손을 잡고, 하발승을 형주로 보내 고환에게 대항하게 했다. 534년 2월, 하발악이 암살되자, 효무제는 그 후계자인 우문태와 결탁했다.
534년 7월, 효무제는 낙양을 탈출하여 장안으로 피신했고, 8월 우문태의 보호 아래 장안에 입성했다.[7] 고환은 효무제 대신 원선견(효정제)을 황제로 옹립하고 수도를 업성으로 옮겨, 북위는 동위와 서위로 분열되었다.
장안에서 효무제는 세 명의 사촌 누이(평원공주 원명월, 안덕공주, 원질려)와 근친상간 관계를 맺었다.[7] 특히 원명월을 총애하여 장안으로 데려왔으나, 우문태는 이들의 관계를 못마땅하게 여겨 원명월의 친오빠 원보거를 시켜 그녀를 살해했다.[6] 효무제는 이에 분노하여 불만을 표출했고, 결국 534년 윤12월 독주를 마시고 사망했다. 우문태는 효무제의 사촌 형인 원보거(문제)를 황제로 옹립했다.[6]
효무제의 황후 고씨는 고환의 딸이었으나, 효무제 사후 팽성왕 원소에게 재가했다. 효무제의 여동생 풍익공주는 우문태와 혼인하여 북주의 효민제가 되는 우문각을 낳았다.
2. 1. 즉위 전 생애
원수(元脩)는 510년 북위 효문제의 아들이자 당시 재위 중이던 선무제의 동생인 광평왕 원회(元懷)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원회의 첩 이 부인이었다.[4] 원수는 젊은 시절 조용하고 총명하며 군사 문제에 관심이 많았다. 주서(Zhoushu)에 따르면 효무제의 누이 중 한 명은 한족인 장환(張歡)과 결혼했다. 북제서(Bei Qishu)와 북사(Beishi)에는 장신(張欣)으로 기록된 그는 위나라의 선비족 공주와 결혼했으며, 황제의 이름을 기피하는 명명 기피로 인해 개인적인 이름이 변경되었다.[5]527년, 효명제는 원수에게 여양군(Ruyang) 공작위를 수여했다. 530년 효장제는 그를 평양왕으로 진봉했다.
2. 2. 황제 즉위와 북위 분열
고환은 이주씨 일족을 격파하고 정권을 장악한 후, 532년 낙양에 들어와 이주씨가 세운 절민제를 폐위하고 효무제를 옹립했다.[6]효무제는 고환에 의해 황제로 옹립되었으나, 실권은 고환에게 있었다. 효무제는 고환의 전횡을 견제하기 위해 534년 봄, 고환의 사주를 받은 후모진열(侯莫陳悅)이 하발악(賀拔岳)을 암살하자, 하발악의 부하였던 우문태와 연합하여 고환에게 대항하려 했다.
534년 여름, 효무제는 고환을 기습할 계획을 세웠으나, 고환이 이를 간파하고 낙양으로 진격해 왔다. 효무제는 장안으로 도망쳐 우문태에게 의탁했고,[7] 고환은 효정제를 옹립하고 수도를 업으로 옮겼다. 이로써 북위는 동서로 분열하게 되었다.
2. 3. 장안에서의 죽음
효무제는 장안에서 우문태와의 관계가 악화되어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다. 낙양에 있을 때부터 세 명의 사촌 누이(평원공주 원명월, 안덕공주, 원질려)와 근친상간 관계를 맺었던 효무제는[7] 원명월을 장안으로 데려갔다. 그러나 우문태는 이 관계를 혐오하여 원명월의 친오빠인 원보거에게 명해 그녀를 살해했다.[6]이에 효무제는 매우 분노하여 종종 궁궐 안에서 활을 쏘거나 탁자를 두드리며 불쾌감을 드러냈다. 결국 534년 윤12월, 효무제는 독이 든 술을 마시고 사망했는데, 이는 우문태의 자객이 놓은 것으로 추정된다.[6] 우문태는 효무제의 사촌 형인 원보거(문제)를 황제로 옹립하여 서위를 건국했다. 이로써 북위는 동위와 서위로 완전히 분열되었다.[6]
효무제의 죽음은 권력 암투의 비정함과 정치적 희생양으로서의 효무제를 부각시킨다.
3. 연호
4. 가계
효무제는 영희 황후 박해군 고씨, 하간군의 싱씨 부인(이름은 퉁어), 그리고 미상의 여인 사이에서 자녀를 두었다. 황후 고씨는 고환의 딸이었으나, 효무제 사후 원소에게 재가했다.[7]
배우자 | 자녀 |
---|---|
영희 황후 고씨 | rowspan="3" | |
하간군 싱씨 부인 | |
미상 |
4. 1. 배우자와 자녀
영희 황후 박해군 고씨는 고환의 딸이었으나, 효무제 사후 원소에게 재가했다.[7]- 하간군의 싱씨 부인 (이름은 퉁어)
- 미상
자녀 |
---|
원광기 (무왕, 넷째 아들) |
동평 공주 |
효무제는 세 명의 사촌 누이(원명월, 안덕공주, 원질려)와 근친상간을 벌였으며, 이 중 원명월을 장안으로 데려갔다. 그러나 우문태는 이러한 난교를 혐오하여 원보거에게 명해 원명월을 살해하도록 했다.[7]
4. 2. 선조
5. 평가
효무제는 권신 고환에 의해 옹립되었으나, 꼭두각시 황제라는 현실에 불만을 품고 고환을 제거하려 했다. 고환의 영향력에서 벗어나기 위해 여러 시도를 했으나, 결국 실패하고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다.
- 고환과의 갈등: 효무제는 고환에게 통제당하는 것을 피하고자, 하발악, 우문태 등과 연합하여 고환을 제거하려 했다.[6] [7] 그러나 하발악이 암살되고, 결국 우문태에게 의지하여 장안으로 도망쳤다.[6] [7]
- 비극적인 최후: 장안으로 피신한 후에도, 효무제는 사촌들과의 근친상간 등 문란한 행실을 보였다.[6] [7] 결국, 이러한 행실을 문제 삼은 우문태에 의해 독살당했다.[6] [7]
이러한 효무제의 생애는 권력의 허무함과 정치적 암투의 비정함을 보여준다. 특히, 권력을 잃은 황제가 자신의 지위를 회복하기 위해 노력했지만, 결국 권신의 손에 비참하게 생을 마감한 것은 현대 정치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참조
[1]
문서
In the ''Twenty-Four Histories'', the name "Xiaowu" was not used to refer to Yuan Xiu in ''Book of Wei''; it was first used in ''Book of the Northern Qi''. Later, ''Zizhi Tongjian'' also used this posthumous name to refer to him.
[2]
문서
''guisi'' day of the leap 12th month of the 3rd year of the ''Taichang'' era, per Emperor Chu's biography in ''Book of Wei''
[3]
문서
Emperor Xiaowu's posthumous name of "Xiaowu" was bestowed by Western Wei. Eastern Wei did not recognize it, and instead referred to him as Emperor Chu. Thus, the official history of Northern Wei, the ''[[Book of Wei]]'', written by Wei Shou who served in Eastern Wei's successor state [[Northern Qi]], referred to him as Emperor Chu. However, Chinese historians, following the lead of ''[[History of the Northern Dynasties]]'', generally refer to him as Emperor Xiaowu.
[4]
웹사이트
Little is known about the rest of Yuan Xiu's family, as the biographies of Yuan Huai were inexplicably lost from extant editions of both the ''[[Book of Wei]]'' ([[:zh:s:魏書/卷22]]) and the ''[[History of Northern Dynasties]]''
http://ef.cdpa.nsysu[...]
2006-10-16
[5]
서적
Good Son is Sad If He Hears the Name of His Father: The Tabooing of Names in China as a Way of Implementing Social Valu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7
[6]
문서
『[[資治通鑑]]』巻155「乃為安定王作詔策而禅位焉。」
[7]
문서
『[[周書]]』卷40 及齊神武專政,帝每不自安。謂顯和曰:「天下洶洶,將若之何?」對曰:「當今之計,莫若擇善而從之。」因誦詩云:「彼美人兮,西方之人兮。」帝曰:「是吾心也。」遂定入關之策。帝以顯和母老,家累又多,令預為計。對曰:「今日之事,忠孝不可竝立。然臣不密則失身,安敢預為私計。」帝愴然改容曰:「卿即我之王陵也。」
[8]
문서
[[북사]](北史)에서는 효무제(孝武帝)로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위서 (역사서)|위서]](魏書)에서는 출제(出帝)로 기록되어 있는데, [[고환 (북제)|고환]](高歡)의 영향이 크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